2025년 3월 8일 토요일

고려 황제,왕 무덤 - 혈은?

자료 없음6, 유실1 ... 조선보다는 많이 낫네.

01 태조 현릉 - 明
02 혜종 순릉 - 明 小
03 정종 안릉 - 非
04 광종 헌릉 - 非
05 경종 영릉 - 非
06 성종 강릉 - 非 失穴
07 목종 의릉 - 非 失穴
08 현종 선릉 - 明
09 덕종 숙릉 - 非
10 정종 주릉 - 明
11 문종 경릉 - 非
12 순종 성릉 - 非 失穴
13 선종 인릉 - ?
14 헌종 은릉 - ?
15 숙종 영릉 - 非 失穴
16 예종 유릉 - 明
17 인종 고릉 - ?
18 의종 희릉 - 유실
19 명종 지릉 - 明
20 신종 양릉 - 明
21 희종 석릉 - 非
22 강종 후릉 - ?
23 고종 홍릉 - 非
24 원종 소릉 - 非 失穴, 순경태후 가릉 明
25 충렬왕 경릉 - 明 小
26 충선왕 덕릉 - ?
27 충숙왕 의릉 - ?
28 충혜왕 영릉 - 非
29 충목왕 명릉 - 非
30 충정왕 총릉 - 非 失穴
31 공민왕 현정릉 - 明


2025년 2월 12일 수요일

도법자연道法自然의 뜻

노자 25장이라고 한다.

有物混成, 先天地生.
물질이 섞여 이루어져 있었는데, 하늘 땅보다 먼저 생겨났다.

寂兮寥兮, 獨立而不改, 周行而不殆, 可以為天地母.
고요하구나! 쓸쓸하구나! 홀로 우뚝 서서 변함이 없고, 두루 행하여 게으르지 않으니 천하의 어머니라 할 만하다.

吾不知其名, 字之曰道, 強為之, 名曰大.
내 그 이름을 알지 못하여 글자를 붙여 도라 부르고, 구지 그것에 뭐라 한다면 이름이니 크다.

大曰逝, 逝曰遠, 遠曰反.
크다니 아득하고, 아득하니 멀고, 머니 반대가 된다.

故道大, 天大, 地大, 人亦大.
고로 도는 크고 하늘도 크고 땅도 크고 사람 역시 크다.

域中有四大, 而人居其一焉.
이 영역에 사대가 있으니, 사람이 그 하나를 차지한다.

人法地, 地法天, 天法道, 道法自然.
사람은 땅을 본받고 땅은 하늘을 본받고 하늘은 도를 본받고 도는 스스로 그러함을 본받는다.


노자의 문자는 고어이고 해석이 좀 그렇지만,
문제의 人法地, 地法天, 天法道, 道法自然 구절.
法을 본받다고 해석하는 게 요즘 의미에 맞지 않다고 본다.

人法地 사람에게 법이란 땅이고... 즉 땅에 통제될 수 밖에 없다는 ... 그 영향 아래에 있다는
이렇게 해석해야 이 시대의 法이란 의미로 맞다고 본다.

人法地 사람에게 법이란 땅이고
地法天 땅에게 법은 하늘이고
天法道 하늘에게 법은 도이고
道法自然 도에게 법은 자연이라.

땅이 없는 인간은 낭이 되고 근거가 없게 된다. 의욕도 지향도 삶도 떠도는 바람처럼 된다.
인간이 기술이 모자라고 탐욕에 쩔어버린 부작용 말고... 그건 인간의 문제니까.
지기가 조화로운 좋은 땅에 살면서 허덕이지 않고 찬찬히 그때 그때의 일을 하는 거.
그 평화로운 인간살이... 그거 한 번 제대로 못해보고 가는 것이 대부분의 인생이다.

반대로 해석할 수도 있다. 한자라는 게 중첩된 다른 의미가 많으니까.
사람은 땅을 다루고
땅은 하늘을 다루고
하늘은 도를 다루고
도는 자연을 다룬다.
다룬다 의미가 행위의 대상이라는 뜻으로 쓸 수 있고,
다룬다는 것이 제어한다는 의미가 될 수도 있다.

사람은 땅을 대상으로 어찌 어찌해서 먹고 산다.
땅은 허공에서야 떠있고 흘러 다닐 수 있다.
빔.허공이 빈것이 아니라 혼연이라
그 혼연의 변연이 만물로 나투니
있고 없음 이치도 빈 것 같은 곳에서 나오고
그런 원리.이치는 스스로 그러함으로 그러함을 따른다. 벗어나지 않는다.
스스로 그러함을 다룬다. 그럴 때만 도가 드러난다. 이런 뜻..
도는 뭐냐...우주 창생의 원리라나 뭐라나... 
그게 또 중의적으로 도리라 하기도 한다고...


2025년 1월 7일 화요일

조선 왕들의 무덤:릉 - 몇이나 명당일까? 없다. 단 1기도...

 https://namu.wiki/w/%EC%A1%B0%EC%84%A0%EC%99%95%EB%A6%89

표 참조, 나름 판단했으니 묻거나 따지지 말 것.

태조 - 건원릉 非 신덕왕후 강씨 非
정종 - 후릉 非(왼王), 非(오른后)
태종 - 헌릉 非 원경왕후 민씨 非
세종 - 영릉 非 +소헌왕후 심씨
문종 - 현릉 非 현덕왕후 권씨 非
단종 - 장릉 非 정순왕후 송씨 非
세조 - 광릉 非 정희왕후 윤씨 非
예종 - 창릉 非 안순왕후 한씨 非, 장순왕후 한씨 非
덕종 - 경릉 非 소혜왕후 한씨 非
성종 - 선릉 非 +정현왕후 윤씨, 공혜왕후 한씨 순릉 非
중종 - 정릉 非 단경왕후 신씨 非, 장경왕후 윤씨 非, 문정왕후 윤씨 非
인종 - 효릉 非 인성왕후 박씨 非
명종 - 강릉 非 인순왕후 심씨 非
선조 - 목릉 非 의인왕후 박씨 非, 인목왕후 김씨 非 
인조 - 장릉 非 +인열왕후 한씨, 장렬왕후 조씨 非
효종 - 영릉 非 인선왕후 장씨 非
현종 - 숭릉 非 명성왕후 김씨 非
숙종 - 명릉 非 인현왕후 민씨 非, 인원왕후 김씨 非, 인경왕후 김씨 非
경종 - 의릉 非 선의왕후 어씨 非, 단의왕후 심씨 非
영조 - 원릉 非 정순왕후 김씨 非, 정성왕후 서씨 非
정조 - 건릉 非 +효의왕후 김씨 
순조 - 인릉 非 +순원왕후 김씨
헌종 - 경릉 非 효현왕후 김씨 非, 효정왕후 홍씨 非
철종 - 예릉 非 철인왕후 김씨 非
고종 - 홍릉 非 +황후 민씨 
순종 - 유릉 非 +후 민씨, 후 윤씨

전반기는 피튀기는 쟁투 ... 세종하나
중기에는 5왕이 연달아 있다가 효종하나
후말기는 아예 없다.

다시 다른 자료로 추가 점검하니
명혈이라고 감지했던 혈이 명혈이 아니거나 혈이 아니다.
예종,중종,인종,효종...

3차 점검을 하였다. 세종도 명종도 아니다.
문제는 앞서 점검했을 때 분명 혈이라고 판단했지만 아니다.
오히려 음의 반응이다. 착각였는지 몸상태가 변한건지 알 수 없다.
더 알아갈수록 점검하는 방법도 달라진다. 2~3가지 정도 점검법이 더 생겼다.
그래서 다시 점검 하니, 세종의 능이 일부 맥이 있으나 혈이 아니다.
뿐만 아니라 이 산 도로 윗쪽은 아예 없다.
어떤 이는 묘의 좌측 능선이 중앙이고 기氣도 그쪽으로 흐른다고 하는데,
현재로서는 터무니 없는 소리라고 판단한다. 산에 혈이라고 할만한 것이 없다.
세종의 묘는 들어오는 도로주변 집 주위에 있는 자리보다 못하다.

4차 점검 - 하나 남은 성종 선릉 합분 非다. 생기가 있는 판이라고 착각하였다.
주위보다 상대적으로 높고 두툼한 지기맥에 올려 놓은 것이다.
양쪽에 있는 작은 혈들의 사砂라 보면 되는데
지기맥 두텁고 주변은 다 평탄하고 주위보다 높으니 착각했지만,
최근에 확정한 점검법으로 보니 혈이 아니다.

근처나 능선에서 위나 아래 주위에 혈을 놓친 경우도 적지 않다.
(예를 들어, 단종의 비 정순왕후 송씨 사릉의 경우,
바로 근처에 있으나 그런 곳은 배제 되었다.)
개인적인 기준 조선 왕들의 무덤 중 진혈은 없다.

왕후도 1차 점검 때는 9기였으나, 3차까지 엄격하게 점검하니 장렬왕후 1 이었다.
4차로 다시 점검하니 장렬왕후도 아니다. 
성종의 선릉과 비슷한데 이곳의 혈은 묘 뒤로 몇십미터 뒤에 있다.

이것이 조선의 왕들과 지관地官으로 나섰던 이들의 실상이다.

이후에 점검해본 고려시대
자료가 없어 듬성듬성 빠졌어도 조선보다는 낫다.
그렇다는건 지기에 대한 것도 조선은 쇠퇴했다 할 수 있다.

고려는 신臣 관官 족族 가家 다양한 형태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노예도 있었을 테지만 조선만큼은 아니었겠지.

조선은 그야말로 태생이 계급인 신분제 노예사회.
그것을 만든 신臣들의 세상.

이기理氣를 떠들었지만 관념이 아닌 실상에는 지기地氣빨 배팅했던 무덤만이 즐비하다.
윗것들이 그러하니 아랫사람들은 혹시나 해서였을까.

헤아리지 못할 무수한 이야기들
무엇이나 나타나면 사라짐 또한 올 터인데
실상을 안다는 건 씁쓸한 일이지

2024년 12월 26일 목요일

반야심경般若心經 관觀 일체개고一切皆苦 이무소득고以無所得故

심경心經은 관觀 - 색 공 공 색 ... 무 무 무 ... 세밀한 설명.

불교는 출리出離 떠남의 해탈법이다.

관觀 일체개고一切皆苦(색,수,상,행.식)이어서 이무소득고以無所得故 얻을 것이 없음으로

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어 공포가 없다.

아 ...! 그런,그럴 것이 아니었다. 

원리전도몽상遠離顚倒夢想 뒤집어진 꿈,생각을 멀리 떠나

구경열반究竟涅槃 경계가 다하는 열반이다. 또는 마침내 열반의 경계다.


말은 실상을 떠나면 그저 허상일 뿐이다.


2024년 11월 7일 목요일

잠잘 때 적정 온도

잠잘 때 적정온도

보일러가 그렇게 되어 있는 걸 본 적이 없어서
이런 걸 생각해 본 사람이 있을까 싶다.

쾌적한 생활 기온은 18~24도라고 들어 본 적은 있을 것이다. 
그럼 잠잘 때 어떨까?
체온은 36도 시원하고 쾌적한데 숨이 느려지고 체온이 조금 떨어지겠지
피가 순환하면서 울냉열이 풀려가면서 잠에 들게 될 것이다.

잠자는 동안 체온 유지는 이불이 한다.

한번 수면은 보통 90분 주기라고 하고
3~4번의 주기가 있고 그 사이에 뒤척인다고 한다.

밤에 잠을 잔다. 
새벽에는 기온이 떨어진다.

이것과 물려서
사람 몸은 3번째 수면에 들어간다.
이 때 한 번 30분 정도 깊은 숙면에 들고
이 숙면이 몸의 재생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한다.
숙면 이후 몸은 다시 순환과 고르기를 할 것이다.
꿈꾸는 시간이라고도...

꿈도 아마 체온과 관계있을 것이다.
선명한 꿈은 깊은 숙면이 잘 안됐다는 뜻일지도...
수행으로 길들여진 경우 꿈은 잘 꾸지 않는다고...

이때 기온이 높으면 꿈을 꾸기 쉽고
기온이 낮으면 풀리지 않은 상태에서 깨어난다.

여름에 시원하길 원하고
겨울이면 몸이 따듯해야 한다는 말은 
적정온도와 차이가 심해지면 기온으로 인해
숙면에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찬 날씨에 잠잘 때는
쾌적온도보다 약간 높은 온도에서 시작해
몸이 데워지면 쾌적 온도에
또 새벽에는 너무 떨어지지 않을 정도를 유지해 주어야 한다.

쉽게 말해 쾌적 기온 시
냉기 없이 잠잘 때를 기준으로 맞추는 게
가장 좋다는 말이다.

보일러에 그런 기능이 없다는 건
어쩌면 일정한 온도로 해도
빼앗기는 난방열로 적정히 맞춰진다...
이런 생각을 하지는 않았겠지...

그러면 단열이다.
단열은 보온이 잘 되기 때문에
자기 전에 계절에 따라 쾌적온도에 맞춰지면
잠자는 동안 이후는 그 주기를 따라 갈테니...

최고의 단열의 기본은 
베란다 식 2중구조이지. 안그런가?

2024년 11월 6일 수요일

중국中國 지사地師(풍수風水?)를 가늠할 수 있는 - 정릉(定陵)

베이징시 창핑구 북경시 북쪽 50km에 있다고 한다.
정릉(定陵)은 만력제와 효단현황후, 효정태후 능이라고 한다.
명나라 시대 능이 많아 명13릉이라고 부르는 모양이다.

대강 지도로 살피니 정릉(定陵)이 진혈眞穴에 있고 다른 능들은 대개 사혈似穴이다.
명나라 지사地師수준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지사地師와 풍수風水는 확연히 구별된다.
땅에서 지기地氣 천기天氣가 조화되는 지점과 그 지점의 향向을 찾는 일을 한다.
이 두가지로 출입은 어느 지점으로 한다.까지 지정해 주는 것이 지사地師가 하는 일이다.
즉 혈穴 향向 문門을 지정한다. 이 말은 건물의 배치까지를 포함한다는 뜻이다.
지기地氣와 向향 를 알기 때문에 건물 배치를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스승 사師가 붙어 지사地師라 한다.

풍수風水는 물이 어떻고 바람이 어떻고 하는
주로 액운厄運을 피하고 부富,복福을 추구한다.

풍수風水가 땅이... 명당이... 혈이 어짜고 저짜고 하는 건 범주 밖이다.
그래서 주로 물,도로를 보고 집이 어디에 있어야 한다, 출입구를 어디로 내라 이런 일을 한다.
실내에 역음양오행방위를 연결하여 길흉에 대한 이론으로 무엇을 어디에 두어라/두지마라 한다.
그래서 실내 가구.물건 배치 등의 충고,권고를 위주로 한다.
다 복福이라는 부富, 권權, 귀貴 추앙,추구하며 오로지 이것이 기준이다.
장풍득수(藏風得水)란 말도 출처도 근거도 없었다.
단지 청오경?
古人고인 聚之使不散취지사불산, 行之使有止행지사유지 故謂之風水고위지풍수
옛 사람이.. 거두어 흩어지지 않게 하고, 행하여 유지하게 한다. 그래서 풍수라 한다
-- 옛말이라 그런지 앞뒤 연결이 안되네.
風水之法풍수지법 得水爲上득수위상 藏風次之장풍차지

이런 게 근거인가?

그냥 어느 풍수가가 썼는지 출처도 근거도 어원도 모를 말이 그냥 명사가 되었다.
그저 예로부터 전해지는 지사들 중에 바람과 물로 이치를 설명하려 했던 자들이 있었던 것 같다.
바람과 물 중요하지, 특히 살아 있는 자에게는 더더욱...
그런데 바람과 물은 균형 조화 즉 없어서는 안되지만 넘쳐도 안되는 흐르는 것이다.
너무 빨라도 안되고 너무 느려도 안된다. 그런데 이게 보이는 것만 말하는 것일까?
기氣차원이라 생각해보지는 못했을까?
예를 들면, 가라앉음 쭐렁임 질척임(물) 들뜸 내달림 쏨(바람), 찌름, 퍼짐, 흩어짐 이런 식으로...

사유思惟해 보면 이건 살아있는 사람들의 삶에 직결되고 양택陽宅에 한정된다.
죽은 자의 무덤은 물이 차지 않는 땅에 봉분을 두껍게 하면 그만이다.
풍수는 잘 쳐줘도 양택陽宅의 일부분에 해당한다.
지사地師에게 음택陰宅이 아닌 넓은 터를 찾는 양택陽宅은 상대적으로 쉬운 일이다.
또 일반인이라도 조금 감각이 예민하면 양택陽宅은 잘 찾아 집을 짓는다.

땅에 기氣가 뭉치면 혈穴이라고 일반화 되어 버렸기 때문에 
눈이 열린 지사地師가 말했던 혈穴은 진혈眞穴 명혈明穴이라 부르게 된다.

종합 정리된 책 지리오결은 용.혈.사.수.향 5분야인 듯 한데,
지사地師는 말로 밝혀줄 수 있지만, 패철 들고 다니는 자는 설명 못한다.
나침판, 나반, 패철  남북을 가리키는 데 썼던 이 물건은 지사地師와는 관계없는 물건이다.
대개 눈 먼 지사地師와 풍수사?들이 혈穴이라고 하는 걸 보면 사혈似穴이라 부르고 싶다.
혈穴과 같은데 혈이 아니란 뜻이다. 沙,似,寫,詐

이자들이 진혈眞穴 명혈明穴을 잡는 경우가 있는데 이건 장님 문고리 잡기나 소 뒷걸음이다.
아니라면 계속 진혈眞穴 명혈明穴을 잡고 사혈似穴을 잡지 말아야 할 것 아닌가.

동기감응同氣感應이라 하던데 이게 사실이라면
사혈似穴의 기氣는 부富, 권權, 귀貴를 탐하고 추앙, 추구하는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그래서 주위를 속이고 겁주고 짓누르고 짓밟고 갈구고 삥 뜯고 피를 빨고 기름 짜고 뼈를 곤다.
그렇게 부자, 권력자가 되어 그 짓을 끝없이 한다.
그 이유를 지사地師는 설명할 수 있다.

이것은 심오한 인과의 계界라서 
지사地師는 삼가고 삼가지만 풍수사는 되는 대로 짓는다.
결과 지금은 세상이 아주 어둡다.

지기地氣는 지질과 관계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리고, 현대에 지사地師 노릇하는 자 중에 형기(,형세,형물),이기류는
혈을 특정할 때 오류가 빈번하거나 잡지 못하고
엘로드류의 도구를 쓰는 기감을 이용하는 자들은 일관성은 있는데 큰 함정이 있다.
이런 기감 도구들은 잡는 사람 신체에너지에 반응한다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 지사地師가 감지하는 곳과 지사地師아닌 자가 감지하는 곳은 다르다.
기맥을 추적할 때도 혈을 잡을 때도 마찬가지다.
그 사람 에너지에 반응하기 때문이다.
대별적으로 간단하게 양陽은 양에 음陰은 음에 반응한다.
크게보면 이렇지만 사람의 에너지가 다 달라서 반응이 제각각이고 
아주 미묘하게 갈리는 경우도 많아서 뭐가 맞는 건지 알 수도 없고
또 대부분 사람들이 음이기 때문에 더더욱 어두워질 수 밖에 없다.
그래서 결국 지사地師 공부는 수도修道와 같다.
먼저 스스로 공부가 되어야 한다.
공부 된 이에게 지사地師급의 일은 반응에 대해 정립될 때까지 수련만 하면 된다.
공부 안된 이들은 그 길이 맞는 줄 알고 참 부지런히 가더라. 말도 많고.....
도법자연道法自然 했으니 자연自然의 이치와 땅의 이치를 깨달아야 지사地師 일을 할 수 있다.
깨달았어도 삼가고 삼갈 뿐이다.

분에 넘는 쓸데없는 말이 많아진다.............




2024년 9월 28일 토요일

명곡 - 연안부두 1979

아주 가끔, 불현듯 떠오르는 노래가 있다.

작사가 작곡가야 그런 느낌의 정서로 노래를 만들고
부르는 사람에게도 그런 뉴앙스가 전달되어 불렀겠지만

풍경

지금은 사라져 기억조차 못하는 
좋은 날 그냥 찍힌 사진 속 눈물겨운 풍경.
이유 모르게 왈칵

가사는 시 같고 곡조는 설렘 아련함으로
편곡,연주,노래는 그 결 따라 간다.

--------------------------------------------------------------

연안부두 

조운파 작사
안치행 작곡
김트리오 노래
~~~~~~~~~~~~~~~~~~~~~~~~~~~~~~

어쩌다 한번 오는 저 배는
무슨 사연 싣고 오길래

오는 사람 가는 사람
마음마다 설레게 하나

부두에 꿈을 두고 떠나는 배야
갈매기 우는 마음 너는 알겠지

말해다오 말해다오
연안부두 떠나는 배야

~~~~~~~~~~~~~~~~~~~~~~~~~~~~~~

바람이 불면 파도가 울고
배 떠나면 나도 운단다

안개 속에 가물가물
정든 사람 손을 흔드네

저무는 연안부두 외로운 불빛
홀로선 이 마음을 달래주는데

말해다오 말해다오
연안부두 떠나는 배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