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말 소위 신진사대부(불만세력) 일부와 무신 이성계가 쿠를 일으켜 세웠?다.
대표주자 정도전 1%를 위한 노예국가를 꿈꿨고 이루었다.
국교인 불교의 타락에 불만이었던 무학대사 평등 불국토를 이루고 싶었던(불교라면 당연히...)
어쨌던 무학과 정도전이 한양(漢陽)(陽볕양 상대말은 陰그늘음) 즉 한수(漢水)의 밝은 땅에
어떻게 수도를 구성할까를 놓고 한판했다고 한다.
무학은 구도자라 밝음을 추구하고 밝은 자였다.
정도전은 지배를 어찌할까를 추구하는 지잘난 어두운 것들의 버르장머리가 그대로 나온다.
무학은 현재 인왕산을 주산으로, 정도전은 북악을 주산으로 주장했다.
결국 정도전 승... 쿠한 무신의 때를 벗지 못한 이성계가 선택하는 건 빤하지...
그럼 왕십리 이야기가 있지만 실제로는
현재의 왕십리역에서 경복궁 근정전까지는 5.6km정도
여기서부터 인왕산 밑까지는 1km가 채 안된다.
같은 터를 놓고 인왕이냐, 북악이냐를 주산을 놓고 논쟁했다는 이야기다.
둘 다 풍수로는 현재 경복궁 터를 볼 정도로 눈이 있었는데 무엇을 놓고 논쟁했을까?
쪼잔한 정도전이 선택한 결과는 지금까지다. 설명할 필요가 없다.
유튜버 누군가의 말에 의하면
청와대는 아픈 역사가 있지만 산 정상에서 남쪽으로 전체가 혈판이라고 한다.
경복궁터는 광화문에서 함화당 집경당 영훈당터까지 담벼락 사각형 안이 다 혈판이고
각 전당은 모두 혈자리에 자리했다고 하고
연못 안 향원정 정점처럼 대혈(크기가 아니라 강도)이라고 한다.
(나는 청와대가 혈판이란 말에 전혀 동의할 수 없다.
설령 청와대 자리가 혈판이라 하더라도(경계는 잡히니까)
레벨은 약하지만 에너지는 강한 음지의 혈판이다.
지기가 강한 곳이 대개 그렇듯 약한 음이라고 했지만 뒤에 북악의 드센 음이 받춰 버티고
평지가 아니라 현무의 능압으로 에너지는 또 만만치 않아서 권할 수 없는 땅이다.
전각자리들도 대개 음이다. 심각한 건 집무실과 숙소까지 음이다. 권할 수 없다.
땅은 대개 약한 음지로 양지도 더러 있고 그러는데 여기는 베이스 에너지가 장난 아닌 음이다.
만일 음의 레벨 값마저 높았다면 거주를 허용하면 안되는 땅이다.
경복궁의 혈판과 그 너머 남쪽의 혈판들과 동서에 넓은 양지와 평창동 양지들을 펼쳐내려면
이 만한 강하고 드센 대응하는 음이라고 생각한다. 측정으로 목과 어깨가 아린다. 음이란....
그래서 청와대만 들어가면 그지랄들 하는 거다. 군림은 음이다. 베품은 양이다.
에너지 소모는 많아 소진되니 바른 생각도 안되고 급하니 강압이 나올 수 밖에...
풍수에서 양택(집터) 음택(묘터)란 말을 쓴다. 지나국에서 쓰던 말이다.
중국에까지 가는 풍수가들이 있는데 청황제들의 무덤을 몇개 보여준적이 있다.
신기하게 양이 아니라 음이였다. 강한 음도 아니고 가장 약한 음.
그래서 양택,음택이란 말을 사용하고 지나국 풍수철학은 그런가? 한다.
하지만 명당이란 말은 또 뭔가. 밝은 양이란 뜻 아닌가?)
(참고로 용산은 청와대보다 흉지라 하니..........)
(2024-11-06 모 풍수채널에서 비춰준 영상으로 점검해 보았다.
대통령 집무실이었던 곳은 약한 음기와 기맥이 있을 뿐이다.
옛 청와대 자리라는 우측 옆 주차장 가운데에 혈이 있다.
혈장이 주차장 만큼 넓지만 약한 혈이라... 이런 혈은 ...
뒤에 산봉우리 아래에도 약한 혈이 하나 있다.
돌로 깎아 놓은 병모양 있는 곳을 혈이라고들 하는 데
사혈似穴이다.(혈 같은데 진혈眞穴 아니라는 뜻이다)
그 앞에 고려 때 심은 주목나무 있는 곳이 양택지고 혈심도 있다.
관저 쪽 일대는 상대적으로 안정된 곳이지만 생기는 없다.
판떼기라 뭐가 있을 줄... 황당한 맹탕이다.)
(2024-11-17
무학은 중국의 지풍地風이 서西에서 동東으로 분다는 걸 알았을지도...
태안-목포-남해 거쳐 먼바다의 보호막이 막고 있지만 한양은 그게 없다.
하여 지기가 강한 인왕을 배경으로 땅기운 그대로를 향向으로 하여
만년대계를 꿈꾸었을지도... 그러니 인왕과 남산의 관이 두터워야 하는 것이다.)
여기까지는 둘 다 봤다는 이야기다.
그럼 인왕을 주산으로 주장했던 무학의 근거는 뭐였을까...
향向이다.
인왕산에서 정향은 동향이다.
경복궁의 모든 전당들도 정향이 동향이다.
청와대의 모든 곳도 대체로 정향이 동향이다.
반면 경복궁자리 동쪽 한옥마을 쪽은 정향이 서향이다
그렇다면 무학은 인왕산 동쪽아래에 궁을 짓고
.무학의 생각은 지금의 경복궁자리은 국사를 처리하는 것으로 생각했을 것이다.
4대문 안 뿐아니라 종묘가 있는 산까지 몽땅 나라일을 보는 곳이고
아마도 그너머 동남쪽으로 마장까지 또 북쪽으로 혜화동,명륜동까지 주거시설이 들어섰을 것이다.
정도전과는 전혀 다른 체제를 기반으로 하지 않으면 생각할 수 없는 구도다.
경복궁 전당들을 북에서 남으로 배치해 놓은 것은 노예제 서열을 중시한 정도전의 생각이고...
오른쪽 어깨가 없다시피 휑하다.
인왕산이 주산으로 동향이면 북악이 청룡으로 우뚝선다.
남쪽으로는 남산이 있지만 위압적이지 않고 개방적이며 그 남쪽으로는 한수가 흐른다.
부암동까지 궁 주변으로 들어오고
옥천암이 관문처럼 되어있는 천혜 요새 평창동 일대가 궁 살림살이 곳간이 된다.
인왕산 뒷쪽으로는 궁을 지키는 군사를 크게 2~3겹으로 배치할 수 있고
궁의 살림살이 잘 지킬 수 있으며
그 뒤로는 거대 군사들을 배치해도 될 정도로 김포까지 트여있다.
많은 운용의 묘가 가능하다.
물은 서출 동류하여 청계천으로 빠지고 북에서 내려오는 물과 함께 한수와 합친다.
북악 뒷쪽도 그렇지만 평창동은 산이 깊기 때문에 물 걱정도 없다.
동궁은 아마도 현재 고려대 쯤이 되었을 것이고
차기 왕이기도 하지만 차세대 치세를 위해 많은 실험을 할 수 있는 넓은 곳이다.
인왕산,안산에서 남산까지 성을 쌓아 큰 관문을 몇 겹으로 만들고
낙산에서 동국대까지, 개운산에서 왕십리 일대까지 그 밖은 물로 둘러져 있다.
비상시에 동쪽으로 몇겹의 방어선을 칠 수 있다.
성을 쌓아야 하는 길이도 생각보다 길지 않다.
마포는 주로 궁에 쓸 물자를
옥수 용담을 지나 청계천은 주거지 물자를 들이는 곳
장영실 정도면 배와 말을 이용해서 혁신적으로 물자를 운반할 수단을 마련했을 것이다.
한수 북에서
왕은 실권으로 남서 일대를 관장하고 크게 한수 하류 국가규모의 관문까지...
동궁은 동쪽에서 실생활과 예비실험을 관장할 수 있다.
그것이 안정되면
한수를 중심으로 남북을 잇는 수단을 어찌할 건가 문제로 가겠지.
규모가 다르고 안정성이 다르다.
무학은 아마도 전혀 다른 사회를 꿈꾸었을 지 모른다.
구도자가 현실에 동참하고 하는 천도는 그런 걸 하려고 하는 거니까...
쿠나 하는 무장과 재주가 있어도 쪼잔이 지식인 나부랭이와는 규모가 달랐다.
그 시작의 갈림이 지금이다.